양평 민심 저버린 정치논쟁의 제물 된 고속도로 백지화
6일 원희룡 장관 양평고속도로 전면 백지화 선언 뿔난 양평군민들
서울~양평 고속도로 추진 재개 범대위 출범 및 10만 서명 운동돌입
광주 하남시 양평군 시장군수 85만 주민 염원 담은 고속도로 재개촉구
양평군민의 오랜 숙원사업이던 서울 양평고속도로가 지난 6일 원희룡 국토부 장관의 전면 백지화 선언 발표 후 성난 양평군민들이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 재개를 촉구하는 범군민대책위(공동위원장 이태영, 장명우 이하 범대위)를 10일 발족했다.
양평군 이장협의회 새마을회 등 시민 사회단체 회원 및 지역주민 전진선 군수 도의원 군의원 등 약 400여 명은 10일 오전 10시 양평군청 앞에서 출정식을 갖고 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장명우 공동위원장의 출정 선언문을 통해 "지난 2008년부터 약 15년간 군민의 염원을 담아 추진해온 서울-양평 고속도로 건설사업이 군민의 열망과 의지와는 상관없이 정쟁의 대립과 혼란 속에서 백지화돼 허탈하고 절망적"이라며 "12만 5천 양평군민들은 남녀노소 여·야 상관없이 지역의 현안 사항이자 숙원사업인 고속도로 건설사업의 조속한 재개와 전면백지화 철회를 강력히 요청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이태영 공동위원장은 성명서를 통해 "오늘 출범하는 범대위는 그 어떤 정치색도 없이 오직 지역 발전을 바라는 군민들의 염원을 전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서게 된 것"이라며 "국토교통부는 사업의 전면 중단을 철회하여 양평군민의 계속 꿈과 희망을 품을 수 있도록 양평 IC가 설치되는 고속도로 사업을 재개하도록 촉구한다고 말했다.범대위는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이 조속히 재개될 수 있도록 범군민 100일 10만 서명운동, 현수막 게시, 군민청원, 주민설명회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국회, 국민권익위원회 등 상급 기관에 민원을 제기하고 사업 재개를 촉구할 방침이다.
또한, 10일 오후 4시 하남시청 시장실에서 방세환 광주시장, 이현재 하남시장, 전진선 양평군수 등 3개 자치단체장은 85만 주민의 염원을 담은 “서울-양평 고속도로”가 2021년 4월에 예비타당성을 통과하고 현실로 실현되는 과정에서 2023년 7월 6일 추진이 중단되는 사태를 맞게 되었다.
이에 3개 자치단체장은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이 신속히 다시 추진될 수 있도록 공동대응 한다는 공동 입장문을 발표하였다.
한편 서울-양평 고속도로는 양평군이 2008년부터 이 도로를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려 했지만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10년 가까이 미뤄졌다.
이후 2017년 1월 국토부가 발표한 제1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16∼2020년 추진)에 처음 반영됐다. 이 고속도로가 개통될 경우 서울에서 양평까지 1시간 30분∼2시간 남짓 걸리던 차량 이동시간이 15분대로 대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2021년 4월 양평고속도로는 경제성과 정책성 등 종합평가(AHP) 결과 0.508을 받아 예타를 통과했다. 잠정 확정된 서울-양평 고속도로는 하남시 감일동에서 양평군 양서면까지 27㎞를 잇는 왕복 4차로 도로 총사업비 예산은 1조7695억원 규모로 2025년 착공, 2031년 완공이 목표였다.
그러다 지난해 3월 사업 타당성조사에 착수, 지난해 7월부터 양평군, 하남시 등 관계기관과 구체적인 노선을 논의했다. 이 과정에서 사업성 등을 고려해 예타를 통과한 노선 외 새로운 대안은 종점을 양평군 양서면이 아닌 강상면으로 옮기고, 나들목을 1개 추가 설치하는 한편 도로 길이도 2㎞ 늘려 총 29㎞로 확장하는 방안으로 사업비는 1조8661억원으로 예타 통과 노선보다 1천억원 가량 증가했다./기동취재반 ,도환진기자